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295

태태개발일지 - 항해 플러스 AI 고민하고있다면(항해플러스 괜찮은가?) 솔직한 후기

https://hanghae99.spartacodingclub.kr/plus/ai 항해플러스 #간단한 자기소개소프트웨어학과를 졸업을 앞두고 부트캠프를통해서 백엔드를 단기간에 교육받고, 금융업 쪽에서 개발을 하고있는 상태였다. 또한 항해플러스 백엔드를 수료한 상태였다. #항해 플러스에 들어오기 전, 현업 개발자로 일하며 갖고 있던 고민점점 개발자를 안뽑고 AI 개발자를 뽑는다는 소문이 돌았다.AI에 대한 지식이 아무것도 없고, 시작하고싶어도 시작하는 방법을 몰라서 고민하던 중이였다. 나와 같은 고민을 하는 사람이 정말 많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항해 플러스를 선택하게 된 계기단순했다. 이전 백엔드 항해플러스 과정을 수료했었고, 항해플러스는 학습 방향을 가르쳐주기때문이다. 당장 AI에 현업에 들어가는 것은 ..

태태개발일지 - 김영한 고급JAVA (LAMBDA)

람다 메서드 참조 기존 람다 방식Lambda a = (int a, int b) -> {return a+b};Lambda b = (int a, int b) -> {return a+b}; 동일한 기능을 함수로 묶을 수 있다. Lambda a = (int a, int b) -> {add(a,b)};Lambda b = (int a, int b) -> {add(a,b)};public static int add (a ,b ){ return a+b;} 다음과 같이 함수로 묶을 수 있다. 하지만, 이것 역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메서드 참조이다. 메서드 참조의 기본 문법 메서드 참조는 (::) 연산자를 사용한다.클래스명::메서드명(정적 메서드)참조변수::메서드명(인스턴스 메..

JAVA 2025.05.26

태태경제일지 - EBS 자본주의

상품 제대로 알아야한다. 1. 상품에는 펀드, 보험, 파생상품 선물 등이있다. 2. 펀드는 자금을 모아 펀드메니저들이 운용을 하고 그에 맞는 수수료를 챙겨가는 것이다. 3. 펀드는 수수료와 여러가지 복합요소를 따졌을 때 이윤이 있는지 판단해야한다. 4. 보험은 중복수령가능과 중복수령 불가능으로 나뉜다. 5. 중복수령 가능은 여러개의 보험을 선택했을 때 모두 받을 수 있는 것이고 중복수령 불가능은 여러개를 선택했어도, 일정 금액이상으로 받지 못하는 것이다. 6. 보험도 위와같은 사항을 보고 올바른 보험을 선택해야한다. 7. 파생상품과 선물 8. 파생이란 하나에서 뻗어져 나온 것으로, 수익률이 크지만, 그만큼 위험도 큰 것이다. 9. 지금 10$ 가격인 상품을 미래에 15$까지 오를 것인가? 같은 느낌을..

경제/자본주의 2025.05.26

태태경제일지 - EBS 자본주의

은행은 서민을 위한 단체인가? 1. 은행을 서민을 위한 단체가 아니다. 2. 은행은 상품을 팔아 이윤을 남겨야 되는 곳이다. 3. 즉 도메인만 다르고 똑같이 상품을 팔고 돈을 버는 기업이라는 것이다. 4. 은행에서는 다양한 파생상품과 금융상품을 팔아야 실적이 쌓인다. 5. 은행을 가면 친절한 직원들이 있는 것이 그러한 이유이다. 6. 은행은 상품을 팔 때 형광팬으로 칠한 부분에 사인만하면 쉽게 쉽게 상품을 구매할 수 있게 해놨다. 7.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상품의 단점을 보지않고, 은행원만 믿고 상품을 구매한다. 8. 실제로 노인분들이 은행원에 말에 따라 중국상품에 가입해 노후 자금을 다 날린 경우도 존재한다. 9. 우리는 은행과 자신의 이윤을 잘 따져서 상품을 구매해야한다. 10. 그것이 자본주의이다..

경제/자본주의 2025.05.21

태태개발일지 - 김영한 자바 고급

람다 람다식은 함수형 인터페이스(추상 메서드가 하나인 인터페이스)의 인스턴스를 간결하게 표현하는 방법이다.Java 8부터 도입된 기능으로, 코드의 길이를 줄이고 가독성을 높여줍니다. 람다는 메서드만 전달하며, 익명클래스보다 더 간단하게 함수 객체를 만들 수 있습니다. 단, 람다는 함수형 인터페이스에만 사용할 수 있고, this 키워드는 외부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참조합니다 익명클래스 익명클래스는 이름이 없는 클래스로, 주로 일회성으로 인터페이스나 추상클래스를 구현할 때 사용한다. 예를 들어, Comparator나 Runnable 같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때 별도의 클래스를 만들지 않고 코드 내에서 바로 정의할 수 있다. 익명클래스는 여러 메서드를 구현할 수 있고, 내부에 필드나 초기화 블록도 선언할 수 있..

JAVA 2025.05.20

태태경제일지 - EBS 자본주의

연준은 그럼 약자를 위한 단체인가? 1. 연준은 약자를 위한 단체가 아니다. 이익을 위한 집단이다. 2. 연준은 금리인상과 인하를 통해서 통화량을 조절할 수 있다. 3. 돈을 갑자기 풀었다가 돈을 갑자기 회수한 적도 있어 미국 국민들이 파산을 여러번 한 적도있다. 4. 미국 연준을 욕할 수는 없다. 5. 미국은 경제 강대국이여서 기초통화국이 된 것이고, 6. 미국의 달러로 모든 나라의 환율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7. 즉 미국의 달러 정책은 당장 우리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게 되는 것이다. 8. 연준의 회의록이나 연준이 하는 말을 무시하는 건 자본주의에서 있을 수 없는 일이다. 9. 책에서는 위안화가 제 2의 기초통화로 등록될 것이라고 예상한다. 10. 허나 10년에서 30년 사이로 보는 중이다. 11..

경제/자본주의 2025.05.20

태태경제일지 - 자본주의 EBS

1. 은행은 대출을 통해 돈을 번다. 2. 미국도 동일하다. 3. 돈의 가치는 어떻게 정해지는가. 4. 기초통화국인 미국의 달러에 의해 정해진다. 5. 미국은 기초통화국이기 때문에 달러를 계속해서 찍어낼 수 있었다. 6. 신용이 낮은사람부터 높은사람들까지 달러를 빌려서 집에 투자하면 바로 이자까지 다 갚을 수 있었다. 7. 좋은 차 좋은 집 여러가지 상품을 소비하면서, 마치 내 소득이 높은 것처럼 행동했었다. 8. 미국 부동산에 버블이 꺼지고, 집값이 폭락하면서 일이 시작되었다. 9. 사람들은 결국 집을 팔아도 돈을 갚을 수 없는 상황이 생겼고, 상품으로 내놨던 것들이 버블이 꺼지면서 터져버린 것이다. 10. 그렇기에 통화량은 중요하다 11. 한국의 한국은행은 정부관할이다. 12. 하지만 미국의 FED..

경제/자본주의 2025.05.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