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281

태태경제일지 - 자본주의(EBS)

물가? 왜 계속오를까 1. 수요와 공급 곡선을 보자면, : 수요가 높아질 수록 공급은 많아지다가 다시 둘이 바뀐다는 뜻이다. 2. 그럼 물가도 내려갔다가 올라가야하는거 아닌가? 3. 하지만 물가가 내려간다는 것은 없는 말이다. 4. 현금의 존재자체를 알아야한다. 5. 현금을 뭐라고 생각하는가? 6. 현금을 실제 달러 돈이라고 생각하고 있다면, 물가를 이해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7. 은행은 한사람에게 예금을 받으면 10%남기고 다른 은행에게 빌려주거나 사람들에게 대출을 해준다 8. 이걸 지급준비제도라고 한다. 9. 그렇다 우리가 생각하는 돈은 그냥 휴대폰에 찍힌 숫자에 불과하고 가상이라는 뜻이다. 10. 그렇기에 예를 들면 A은행이 10% 예치후 B은행에게 빌려주고 똑같은방식으로 돈을 빌려준다면 돈은 ..

경제 2025.05.14

태태개발일지 - JAVA 고급편(3) 김영한 람다

람다&제네릭제네릭 사용 이유1. 중복과 가시성Function func1 = a -> a+3;Function2 func2 = a -> a+2; 이와같이 람다를 만들 때 비슷하거나 같은 코드를 여러개만든다면, 중복과 가시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음 2. 람다 대입Function func1 = a -> a+3;#Function2 func2 = a -> a+2;Function2 func2 = func1 (x) 아래와 같이 java 특성상 같은 값이라도 다른 자료형에 값을 대입할 수 없다. 즉 int s = 10String w = "10"w =s (x) 같은 값이라도 대입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제네릭&람다@FunctionalInterfacepublic interface Function { R apply(T ..

JAVA 2025.05.05

태태개발일지 - JAVA 고급편(3) 김영한 람다

고차함수 고차 함수(Higher-Order Function)는 함수를 인자로 받거나, 함수를 반환하는 함수를 의미한다 쉽게 말해서 기본적인 함수는 int, float, 객체 ... 간단한 자료형을 넘기지만, 함수자체를 넘기는 함수를 고차함수라고 한다. 즉, 함수 자체를 값처럼 전달하거나 반환할 수 있는 함수가 고차 함수다. 기본적인 함수는 int, float, 객체 등 단순 자료형을 인자로 받지만, 고차 함수는 함수 자체를 인자로 받거나 결과로 반환한다 import java.util.function.Function;public class HighOrderFunctionExample { // 함수를 인자로 받는 고차 함수 public static int compute(Function oper..

JAVA 2025.05.02

태태영어일지 - 리얼클래스 일상표현

what's so funny번역: 뭐가 웃겨? ex) 1. 진짜 어떤게 웃는지 궁금한 상황2. 심각한 상황에서 상대가 웃을 때 기분나쁘게 하는 표현 Make it 번역: ~해내다 ex) i'll never make it => 나는 그것을 절대 못해낼거야.. Something , Anything ... thing + 형용사번역: Something nice=> 멋있는 것 Making fun of번역: 놀리다ex) i'm not making fun of you번역: 난 당신을 놀리는게 아니에요!

태태코딩 - 람다(김영한 실전자바 고급 3편)

요즘 AI공부를 시작하다보니, AI공부를 쉬고싶을 때 백엔드 공부로 치유하는 느낌이다,, 원래는 백엔드도 점점 공부라고 느껴지던 참이였는데,, 치료된건가..? 싶다 일단 AI 끝나면 멀티스레드를 마무리하고, 람다를 제대로 다시 공부해볼 예정이다. 효율적인 코드?역시 영한 강사님이다,, 아직 시작 부분이지만, 람다가 왜 필요한지 설명해주신다.머리속 코드로 작성해보자면 public void ex1(){ String ex1 = "행복"System.out.println("오늘은 "+ ex1+ "해요");} public void ex2(){ String ex2 = "우울"System.out.println("오늘은 "+ ex2+ "해요");}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JAVA 2025.04.27

태태개발일지 - AI LLM개발자? 렝체인, RAG에 대하여

내가 궁금했던점과 답에대해서 적어보겠다. 1. 기존에 GPT가 제일 잘 나온 모델인데 굳이 생성형 AI 인재들을 뽑아서 기본 모델을 학습하는 것을 배우는 이유가 무엇인지? 그냥 GPT API 가져와서 쓰면 되지않을까?? 1.1 성능만 놓고 보면 chatGPT api쓰는게 정답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api는 비용이 있습니다. 1.2 만약에 어떤 기업에서 LLM기반 서비스를 한다고 할 때, chatGPT api로 구현하면 서비스 구현은 정말 쉽겠지만, 1.3그만큼 트래픽이 상승할수록 api비용도 증가할 것입니다. (매출 원가) 1.4 그렇다면 해당 서비스는 api 비용을 상쇄하고 남을만한 비용을 사용자에게 청구해야하는데요. 1.5 이런 서비스는 아주 소수의 사용자에게 비싼 유료 서비스를 팔게하는 ..

태태개발일지 - AI의 미래(개발자의 미래)

근황현재 근황은 LLM을 공부하면서 pandas, 머신러닝, 딥러닝을 천천히 공부하고 있어서, 이쪽에 대한 글작성은 나중에 한번에 모아서 올리기로 했다. 이 글의 주제AI에 대해서 공부하면서 다양한 글에대해 접해서 정리해 보게 되었다.대충 글을보자면 이러한 부분들이 있었다. AI발전으로 인해서 개발자가 사라지는 것인가?AI발전을 어떻게 따라가야하는가? 1번과 2번으로 나누어서 정리해보겠다. 1. AI발전으로 인해서 개발자가 사라지는 것인가?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고 생각한다. 나 또한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 많은 사람들의 글을 읽고 영상을 보면서 정리한 것이있다.짧게 요약하자면, 1.1 과거에는 코드를 짜는 것이 불편했고, 반복적이고 안정적인 코드를 짜는 것이 중요했다. 1.2 하지만 AI의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