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pring/Test 3

태태개발일지 - Controller계층 Test

단위별 테스트 작성 저번 글과 이어서 이번에는 Controller 계층에 테스트를 진행시켜보도록 하겠다.import static org.springframework.test.web.servlet.request.MockMvcRequestBuilders.get;import static org.springframework.test.web.servlet.result.MockMvcResultHandlers.print;import static org.springframework.test.web.servlet.result.MockMvcResultMatchers.jsonPath;import static org.springframework.test.web.servlet.result.MockMvcResultMatchers..

Spring/Test 2024.06.09

태태개발일지 - Service 계층 Test

단위별 테스트 작성 저번 글과 이어서 이번에는 Service 계층에 테스트를 진행시켜보도록 하겠다. package com.example.service.prag.user.service;import com.example.service.prag.user.domain.User;import com.example.service.prag.user.domain.UserRepository;import org.junit.jupiter.api.Test;import org.junit.jupiter.api.extension.ExtendWith;import org.mockito.InjectMocks;import org.mockito.Mock;import org.mockito.junit.jupiter.MockitoExtension..

Spring/Test 2024.06.09

태태개발일지 -TestCode 편

단위별 테스트 작성Test코드를 작성하기 위해서 Test라는 Directory에 Resources라는 폴더를 추가하고,application-test.yml을 추가해주었다. spring: config: activate: on-profile: test #'test' 프로파일이 활성화 되었을 때 아래 설정이 적용된다. datasource: username: sa password: driverClassName: org.h2.Driver # H2 데이터베이스 드라이버 클래스 이름 url: jdbc:h2:mem:test;DB_CLOSE_DELAY=-1;DATABASE_TO_UPPER=false;MODE=MYSQL # DB_CLOSE_DELAY=-1: 메모리 데이터베이스가 ..

Spring/Test 2024.06.0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