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pring/Kafka 3

태태개발일지(Kafka)

Kafka에대한 이해? - 실무에서 사용하게 된다면 3대이상의 kafka 서버를 둘 것이다. Topic? 하나의 주제, 메세지를 구분하기 위한 kafka의 기본적인 단위 ex) producer가 topic1을 통해 발행하면 consumer가 topic1을 통해 받음 reflication을 3으로 두어야 좋다. 원본을 복사하겠다. default 1은 복제를 하지 않겠다는 의미. Reader파디션에서만 쓰기 읽기가 일어나고, follow파티션은 Reader파티션에서 에러가 났을경우 대체가 된다. Kafka는 하나의 큐저럼 보인다. 메세지를 보내면 큐에서 지워진다.-> 고유의 순서에 따라 저장해나가다가 시간이 지나면 삭제되는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current offset을 통해 현재의 위치를 저장시킨다. s..

Spring/Kafka 2023.08.07

태태개발일지 (Kafka)

Kafka란? -linked인에서 파생된 것. (이벤트 스트리밍 플렛폼) 데이터 파이프라인 문제를 백엔드에서 해결해야한다. (마이크로서비스를 사용하고있다.) 실습화면 구성하기 -이벤트 소프트웨어에서 일어나는 모든 유형의 사건, 변경사항 ( 메세지라고도 부름) ex) 회원 - 회원가입.. 주문 - 고객주문, 취소 주식 주문- 주문, 채결 이벤트 발행자 이벤트 구독자 이벤트 중간에 KAFKA를 둬서 의존성을 낮추는 역할을 하게된다. 비동기로 바꾼다는 이야기다. 판매자 -> API Server -> Kafka ->cunsumer -> DB 동기 프로세스 (Synchronous): 동기 프로세스는 한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하고 다음 작업을 실행합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를 요청한 후 응답을 받을 때까지 기다..

Spring/Kafka 2023.08.0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