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240

태태경제일지 - EBS 자본주의

은행은 서민을 위한 단체인가? 1. 은행을 서민을 위한 단체가 아니다. 2. 은행은 상품을 팔아 이윤을 남겨야 되는 곳이다. 3. 즉 도메인만 다르고 똑같이 상품을 팔고 돈을 버는 기업이라는 것이다. 4. 은행에서는 다양한 파생상품과 금융상품을 팔아야 실적이 쌓인다. 5. 은행을 가면 친절한 직원들이 있는 것이 그러한 이유이다. 6. 은행은 상품을 팔 때 형광팬으로 칠한 부분에 사인만하면 쉽게 쉽게 상품을 구매할 수 있게 해놨다. 7.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상품의 단점을 보지않고, 은행원만 믿고 상품을 구매한다. 8. 실제로 노인분들이 은행원에 말에 따라 중국상품에 가입해 노후 자금을 다 날린 경우도 존재한다. 9. 우리는 은행과 자신의 이윤을 잘 따져서 상품을 구매해야한다. 10. 그것이 자본주의이다..

경제 2025.05.21

태태개발일지 - 김영한 자바 고급

람다 람다식은 함수형 인터페이스(추상 메서드가 하나인 인터페이스)의 인스턴스를 간결하게 표현하는 방법이다.Java 8부터 도입된 기능으로, 코드의 길이를 줄이고 가독성을 높여줍니다. 람다는 메서드만 전달하며, 익명클래스보다 더 간단하게 함수 객체를 만들 수 있습니다. 단, 람다는 함수형 인터페이스에만 사용할 수 있고, this 키워드는 외부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참조합니다 익명클래스 익명클래스는 이름이 없는 클래스로, 주로 일회성으로 인터페이스나 추상클래스를 구현할 때 사용한다. 예를 들어, Comparator나 Runnable 같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때 별도의 클래스를 만들지 않고 코드 내에서 바로 정의할 수 있다. 익명클래스는 여러 메서드를 구현할 수 있고, 내부에 필드나 초기화 블록도 선언할 수 있..

JAVA 2025.05.20

태태경제일지 - EBS 자본주의

연준은 그럼 약자를 위한 단체인가? 1. 연준은 약자를 위한 단체가 아니다. 이익을 위한 집단이다. 2. 연준은 금리인상과 인하를 통해서 통화량을 조절할 수 있다. 3. 돈을 갑자기 풀었다가 돈을 갑자기 회수한 적도 있어 미국 국민들이 파산을 여러번 한 적도있다. 4. 미국 연준을 욕할 수는 없다. 5. 미국은 경제 강대국이여서 기초통화국이 된 것이고, 6. 미국의 달러로 모든 나라의 환율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7. 즉 미국의 달러 정책은 당장 우리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게 되는 것이다. 8. 연준의 회의록이나 연준이 하는 말을 무시하는 건 자본주의에서 있을 수 없는 일이다. 9. 책에서는 위안화가 제 2의 기초통화로 등록될 것이라고 예상한다. 10. 허나 10년에서 30년 사이로 보는 중이다. 11..

경제 2025.05.20

태태경제일지 - 자본주의 EBS

1. 은행은 대출을 통해 돈을 번다. 2. 미국도 동일하다. 3. 돈의 가치는 어떻게 정해지는가. 4. 기초통화국인 미국의 달러에 의해 정해진다. 5. 미국은 기초통화국이기 때문에 달러를 계속해서 찍어낼 수 있었다. 6. 신용이 낮은사람부터 높은사람들까지 달러를 빌려서 집에 투자하면 바로 이자까지 다 갚을 수 있었다. 7. 좋은 차 좋은 집 여러가지 상품을 소비하면서, 마치 내 소득이 높은 것처럼 행동했었다. 8. 미국 부동산에 버블이 꺼지고, 집값이 폭락하면서 일이 시작되었다. 9. 사람들은 결국 집을 팔아도 돈을 갚을 수 없는 상황이 생겼고, 상품으로 내놨던 것들이 버블이 꺼지면서 터져버린 것이다. 10. 그렇기에 통화량은 중요하다 11. 한국의 한국은행은 정부관할이다. 12. 하지만 미국의 FED..

경제 2025.05.19

태태경제일지 - EBS 자본주의

은행 이자 개념은 없다 1. 은행의 이자 개념은 없다? 2. 또한 누군가 빛을 다갚게 되면 누군가는 파산한다는 것이 자본주의다. 3. 한 고립되어있는 마을을 예시로 들어보자 4. 은행, A , B, C가 있는 마을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5. A는 은행에게 10000원을 빌렸다. 이자는 500원이다. 6. 하지만 지금 마을에는 은행이 발급한 10000원 밖에없다. 즉 이자를 만들려면 돈을 찍어내야한다는 것이다. 7. 그렇게 되면 은행은 돈을 더 뽑아야하고, C가 500원을 빌리게 되면 그에 맞는 이자를 또 뽑아야한다. 8. 이렇게 진행되다보면 A가 C에게 돈을 받아 돈을 다 갚게 되면, 마을에는 돈이없어 C는 파산하게 된다. 9. 이게 자본주의다. 10. 은행에서 대출을 계속해주다보면 통화량이 늘어나고 인..

경제 2025.05.16

태태경제일지 - EBS 자본주의

은행의 유래와 돈 1. 저번 글에서 돈은 가상이라고 정리를 했었다. 2. 즉 돈은 은행이 가상으로 만들어내는 것이다. 3. 은행이 지급준비율만 남기고 다른 곳에 대출을 해주던 돈을 굴려서 새로운 돈을 창출해 낸다는 것이다. 4. 그렇다면 이 은행의 유래는 어디서 왔는가? 5.과거 영국에서는 화폐를 금으로 사용했을 시절이 있었다. 6. 금을 맡기거나 받아갈 때 영수증을 사용했는데 실제 금은 무거워서 주고받는것이 힘들었는데 아주 편하다는 것을 인지했다. 7. 그렇게 영수증으로만 거래를 하다보니 실제 금을 찾아갈때 빼고는 금의 실물이 필요가 없어졌다. 8. 그렇게 상인은 금을 나타내는 영수증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는 방법을 생각해 냈다. 9. 또한 모든 사람이 한번에 금을 찾아가지 않는 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

경제 2025.05.15

태태경제일지 - 자본주의(EBS)

물가? 왜 계속오를까 1. 수요와 공급 곡선을 보자면, : 수요가 높아질 수록 공급은 많아지다가 다시 둘이 바뀐다는 뜻이다. 2. 그럼 물가도 내려갔다가 올라가야하는거 아닌가? 3. 하지만 물가가 내려간다는 것은 없는 말이다. 4. 현금의 존재자체를 알아야한다. 5. 현금을 뭐라고 생각하는가? 6. 현금을 실제 달러 돈이라고 생각하고 있다면, 물가를 이해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7. 은행은 한사람에게 예금을 받으면 10%남기고 다른 은행에게 빌려주거나 사람들에게 대출을 해준다 8. 이걸 지급준비제도라고 한다. 9. 그렇다 우리가 생각하는 돈은 그냥 휴대폰에 찍힌 숫자에 불과하고 가상이라는 뜻이다. 10. 그렇기에 예를 들면 A은행이 10% 예치후 B은행에게 빌려주고 똑같은방식으로 돈을 빌려준다면 돈은 ..

경제 2025.05.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