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태태경제일지 - 자본주의(EBS)

태태코 2025. 5. 14. 17:58
반응형

물가? 왜 계속오를까

 

1. 수요와 공급 곡선을 보자면,

출처:https://eiec.kdi.re.kr/material/clickView.do?click_yymm=201103&cidx=1433

 

 

: 수요가 높아질 수록 공급은 많아지다가 다시 둘이 바뀐다는 뜻이다.

 

2. 그럼 물가도 내려갔다가 올라가야하는거 아닌가?

 

3. 하지만 물가가 내려간다는 것은 없는 말이다.

 

4. 현금의 존재자체를 알아야한다.

 

5. 현금을 뭐라고 생각하는가?

 

 

6. 현금을 실제 달러 돈이라고 생각하고 있다면, 물가를 이해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7. 은행은 한사람에게 예금을 받으면 10%남기고 다른 은행에게 빌려주거나 사람들에게 대출을 해준다

 

8. 이걸 지급준비제도라고 한다.

 

9. 그렇다 우리가 생각하는 돈은 그냥 휴대폰에 찍힌 숫자에 불과하고 가상이라는 뜻이다.

 

10. 그렇기에 예를 들면 A은행이 10% 예치후 B은행에게 빌려주고 똑같은방식으로 돈을 빌려준다면 돈은 복사가 되는 것이다.

 

11. 돈이 이렇게 점점 많아지면, 자연스럽게 물건의 값은 비싸지는 것이다. 이것이 물가가 오르는 이유이다.

 

12.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돈은 계속 많아지기 때문에 물가가 내려갈 순 없다.. 안정해 진다 는 표현이 맞는 것이다.

 

13. 일정한 수준으로 낮게 물가가 오른다는 것을 다행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돈은 실제 보이는 물체가 다가 아닌 자본주의에서 돈은 가상으로의 역할이 크다는 것이다.

그리고 돈이 많아질 수록 물건의 가격은 비싸지는 것은 흐름인 것이고 이것이 물가가 오르는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