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273

큰 수 A+B

https://www.acmicpc.net/problem/10757 10757번: 큰 수 A+B 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 A+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www.acmicpc.net 생각보다 간단한 문제이지만 int범위를 생각하면 쉽지 않은 문제이다. 처음에 double형으로 바꾸고 casting을 통해 출력하려 했지만 double과 long을 뛰어넘는 숫자라 java math.BigInteger;를 import를 해 문제를 해결하였다. BigInteger란 System.out.println("덧셈(+) :" +bigNumber1.add(bigNumber2)); System.out.println("뺄셈(-) :" +bigNumber1.subtract(bigNumber2)); Syste..

코테/백준 2023.02.24

게임 플레이하기-oop프로그래밍

이 게임을 설명하고자 하면. 1. 게임이 시작된다. 🎲🎮 2.유닛의 정보를 입력한다. 3. 상대의 유닛 정보를 입력한다. 4.유닛의 레벨을 판별해 높은 유닛부터 공격한다 ---> 추가 요소 5.방어력과 공격력을 따져서 체력이 먼저 0아래로 내려가는 사람이 지는 것이다. 🔥 ---> 실행 배경이 되는 program이다. package com.codestates.seb.lol_program; public class LOL_Program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ODO: //시스템 시작 info System.out.println("[안내] TRPG 스타크래프트 시작합니다."); System.out.println("[안내] 자신의 유닛 정보를 입력해 주세..

JAVA 2023.02.24

회고 10일차

오늘은 불금 금요일이고 상태는 나쁘지 않다. 오늘은 클래스, 객체, 생성자, 내부클래스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이였고, 짧게 블로깅에 대해서 배웠다.  내가 지금까지 썼던 블로깅은 거의 일기였던 것.. 오늘 부터라도 블로깅에 대해서도 공부하고 연구해 보아야 겠다고 생각했다. 자. 객체지향에 대해서 총 정리를 해보겠다. 실제 생활에서는 무언가를 만드려면 설계도가 필요하고 그 설계도를 통해 만든 것은 움직이게 된다. 뭐 사람을 설계해서 만드냐 라고 말할 수 도 있지만. 사람이란 것을 만드는 것 보단, 사람이 움직이고 생각하고 실생활에 일어나는 것을 컴퓨터가 묘사하는 것을 객체 지향이라고 생각 하기로 했다. 클래스 -> 객체를 설계하기 위한 설계도 역할을 한다.class 클래스이름 {}이..

코딩은 체육과목입니다-25314

https://www.acmicpc.net/problem/25314 25314번: 코딩은 체육과목 입니다 오늘은 혜아의 면접 날이다. 면접 준비를 열심히 해서 앞선 질문들을 잘 대답한 혜아는 이제 마지막으로 칠판에 직접 코딩하는 문제를 받았다. 혜아가 받은 문제는 두 수를 더하는 문제였다. C++ www.acmicpc.net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final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

코테 2023.02.23

달팽이는 올라가고싶다 -2869

https://www.acmicpc.net/problem/2869 2869번: 달팽이는 올라가고 싶다 첫째 줄에 세 정수 A, B, V가 공백으로 구분되어서 주어진다. (1 ≤ B < A ≤ V ≤ 1,000,000,000) www.acmicpc.net 달팽이가 하루동안 +n만큼 올라갈 수 있고 -m만큼 내려온다 V에 도달할 때까지 몇번 올라가야하는가. 수식때문에 애를먹었다 왜냐하면 보통(V)/(n-m)이라고 생각했지만 마지막엔 +n만큼올라가고 내려오지 않기때문에 V-M / N-M으로 해야하고 나누어 떨어지지 않을 경우 남아있을 경우이기 때문에 한번더 올라가야하기 때문에 +1을 해줘야한다.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코테/백준 2023.02.23

회고 9일차

오늘도 열심히 아침부터 달리고 집으로와서 9시에 정확하게 늦지않고 들어갔다 ^^ 밥먹는 시간이 빨라진 것인가? 오늘은 객체지향언어 oop를 배웠다.객체,클래스,상속,다형성,추상화,캡슐화 ... 중에서 객체와 클래스에 대해서 배워보았다.객체 = 무안가에 대한 정보와 동작을 묶는 것클래스 = 클래스를 통해 객체를 만들 수 있다. class person{ String name; --->필드 method(){ -->메서드 } }즉 예를 들면 클래스는 = 설계도 , 객체 = 설계도를 통해 얻은 객체  클래스의 생성 과정에 대해서 설명해보자면Person p = new Person();가장 먼저 실행정 Person클래스가 JVM에 RUN TIME AREA에 클래스 영역에 클래스를 생성하고 ..

기본수학 -벌집

https://www.acmicpc.net/problem/2292 2292번: 벌집 위의 그림과 같이 육각형으로 이루어진 벌집이 있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의 방 1부터 시작해서 이웃하는 방에 돌아가면서 1씩 증가하는 번호를 주소로 매길 수 있다. 숫자 N이 주어졌 www.acmicpc.net 그림의 숫자의 위치를 찾는 문제로 1이면 첫번째 2~7사이면 2번째 즉 둘러쌓인 겹의 층을 말한는 문제입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어떤 패턴이 있는지 확인해봤고, 늘어나는 숫자가 1 7 19 37이기에 보니 6의 배수만큼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했고, 이를 코드로 구현해 봤습니다.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

코테/백준 2023.02.22

회고 8일차

아침알바는 날 따듯해지면 편하겠지~ 라는 생각으로 그냥 아무생각없이 하는 중..오늘의 keyword는 배열이였다.집에 8시30분에 도착해서 밥을 먹고 씻고 자리에 앉으면 정확히 9시1분이다.. 항상 오프닝 멘트 1분을 화면으로 보지못하고 듣게 된다..밥을 더 빨리먹어야하나 오늘은 pair 프로그래밍이 끝나는 날이다. 정말 왜 소통하면서 하라는 지 알게 되었다. 여러 사람들과 소통하면서 공유하면서 프로그래밍을 하면 훨씬 더 재밌고 능률이 오르는 것 같아서 기분이 좋다. 오늘 배운 내용을 정리하자면, 예전에 배웠던 변수를 선언할때 메모리에 있는 메모리 쉘 들에는 그들을 식별할 수 있는 메모리 주소를 가지고 있고, 그 메모리 주소에 데이터 타입의 크기만큼 할당하여 사용한다고 했다.하지만 배열? 배열이놈은 선언..

구구단 프로그램(java)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구구단을 출력하는 프로그램: 2단부터 9단만 가능하다는 조건을 가지고 짠 코드이다.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gugudan { public static final int min_gugudan = 2; public static final int max_gugudan = 9;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ODO: // 0. 구구단을 정의하기 전 구구단 연산을 위한 변수를 선언합니다. // 클래스에 포함된 메서드를 활용하기 위해 객체 생성 // Scanner(클래스명) s(변수명) = new(객체 생성을 위한 키워드) Scanner(클래스명)(System.in); Scanner sc = new ..

객체지향 2023.02.22

계산기 만들기 프로그램

오늘은 간단하게 제어문을 사용해서 계산기를 만들어 보았다. while문을 사용해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종료할 수 있는 코드를 작성했고, 형식에 맞는 입력값이 들어왔을 때 구분자로 나눠서 계산하는 코드를 작성했다. public class Calculato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Java Calculator==="); Scanner input = new Scanner(System.in); //입력 예시 ====> 11 + 12 while(true){ System.out.println("연산 식을 입력해 주세요 ex)11 + 12"); //문자열 형식으로 입력받기 String oper = input.nextLin..

객체지향 2023.02.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