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융 3

태태경제일지 - EBS 자본주의

정부? 참여 해야할까 1. 정부가 흐름을 주도하던 시절 이상한 현상이 발견되었다. 2. 물가가 오르는 것은 인플레이션이고, 3. 물가가 오르다가 침체가 오는것을 디플레이션이라고 하는데 4. 물가가 오름 동시에 침체가 같이오는 스테그 인플레이션이 온 것이다. 5. 케인의 거시경제학에서는 정부가 이를 조절하면 된다고 했지만, 6. 너무 강력한 정부의 힘에 새로운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7. 이때 하이에크가 등장하여 너무 거대한 정부는 필요하지 않다는 주장을 한 것이다. 8. 다시 검은 손 시장의 힘을 믿어야 한다는 것이다. 9. 미국과 영국을 베이스로 시장을 열라는 압박을 넣기 시작했고, 10. 물가와 경제가 안정하던 멕시코는 11. 시장을 개방하면서 , 모든 것이 뒤틀리게 되었다. 12. 이 세계화 ..

경제 2025.06.10

태태경제일지 - EBS 자본주의

국부론 자본론 1. 아담스미스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2. 마르크스는 아담스미스의 국부론에 대하여 읽었다고 한다. 3. 마르크스는 노동자들이 더 가난해지고 계층있는 사회를 바꾸고 싶어했다. 4. 마르크스는 독일 태생에 사회운동을 진행했다. 5. 사회운동을 하다가 쫒겨난 마르크스는 다른 여러나라를 다녔고, 6. 공산주의를 지지하며, 가난한 사람들이 없는, 계급이 없는 사회를 만들고 싶어했다. 7. 그는 자본도 없이 자본론을 쓰기 시작했고, 그의 자본론 내용은 이것이다. 8. 국부론을 기반으로, 마르크스는 왜 부자가 더 부자가 되고, 노동자는 더 가난해지는지 작성했다. 9. 원리는 이렇다. 물품을 만들 때 노동의 시간을 가치로 나타내는 것이다. 10. 만약에 빵을 만드는데 드는 시간이 1시간이면 그만한 가치..

경제 2025.06.05

태태경제일지 - EBS 자본주의

앞으로의 금융에 대하여 1. 어린 아이들에게도 조기 금융 교육이 중요하다는 것을 전 글에서 작성했다. 2. 실제로 미국에서도 학교를 대상으로 아이들 금융교육을 해주고있다. 3. 그만큼 저축, 예금, 소비 등 다양한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4. 하지만 아이들이 성인이 되었을 때는 다시 교육을 해줘야 한다. 5. 금융은 끊임없이 변하고, 계속해서 공부하며 자신과 맞는 길을 찾아야한다. 6. 어릴때는 돈이 중요하다는 것만 인지를 해야하고, 7. 성인이 되었을 때 실제로 돈을 투자해야할 때 다시 교육을 받고 수행해야한다. 8. 은행이나 증권에는 재정관리사가 있다. 9. 고객의 자산이나 여러가지 상황을 보고 추천해주는 직업이다. 10. 하지만, 은행이나 증권에 소속되어있어서, 상품을 팔아 수익을 내야하는 구조..

경제 2025.05.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