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부론 자본론
1. 아담스미스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2. 마르크스는 아담스미스의 국부론에 대하여 읽었다고 한다.
3. 마르크스는 노동자들이 더 가난해지고 계층있는 사회를 바꾸고 싶어했다.
4. 마르크스는 독일 태생에 사회운동을 진행했다.
5. 사회운동을 하다가 쫒겨난 마르크스는 다른 여러나라를 다녔고,
6. 공산주의를 지지하며, 가난한 사람들이 없는, 계급이 없는 사회를 만들고 싶어했다.
7. 그는 자본도 없이 자본론을 쓰기 시작했고, 그의 자본론 내용은 이것이다.
8. 국부론을 기반으로, 마르크스는 왜 부자가 더 부자가 되고, 노동자는 더 가난해지는지 작성했다.
9. 원리는 이렇다. 물품을 만들 때 노동의 시간을 가치로 나타내는 것이다.
10. 만약에 빵을 만드는데 드는 시간이 1시간이면 그만한 가치를 돈으로 환산하는 것이다.
11. 여기서 부자가 더 부자가되는 이유가 나오는데, 빵을 만드는데 필요한 밀가루와 기계의 가격은 일정하다. 웬만하면
12. 그렇기에 노동자가 더 많은 시간을 일해서 돈을 얻을 경우 노동자의 임금만 줄이면, 고용자는 잉여가 많이 남는 것이다.
13. 그렇게 노동시간을 늘리고 임금을 줄여도 노동자는 불평할 수 없는 것이.
14, 대체 인력이 있다는 것이다. 그냥 마음에 안들면 다른 사람을 뽑아서 노동을 시키면 되는 것이다.
15. 여기서 더 나아가, 만약 기계를 좋은 것을 만들어서 노동을 더 쉽게 한다면, 여기서 "특별 잉여"가 생기는 것이다.
16. 그렇다면 노동자의 임금은 그대로인데 생산량이 늘어나니 그만큼 "특별 잉여"가 많이 생기는 것이다.
17. 마르크스는 자본주의를 이렇게 비판했다. 고용주는 계속해서 노동자의 임금을 줄이려 할것이고,
18. 생산력은 늘어나 상품을 생산하는 속도가 매우 빨라질 것이라고.
19. 그렇게 되면 노동자는 혁명을 일으킬 것이고, 상품도 남아돌아 자본주의가 망할 것 이라고 했다.
20. 하지만, 결국 지금은 공산주의가 변해버렸고, 자본주의가 살아남았다.
21. 그럼 마르크스의 국부론은 틀린 것인가?
22. 그것도 아니라고 보는 측면이 많다. 아마 마르크스의 국부론에서 경고한 부분들을 조심하며 시대가 변해서
23. 자본주의의 멸망을 피할 수 있지 않았나? 하는 의견이다.


'경제 > 자본주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태경제일지 - EBS 자본주의 (1) | 2025.06.10 |
---|---|
태태경제일지 - EBS 자본주의 (0) | 2025.06.09 |
태태경제일지 - EBS 자본주의 (2) | 2025.06.04 |
태태경제일지 - EBS 자본주의 (1) | 2025.05.28 |
태태경제일지 - EBS 자본주의 (1) | 2025.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