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279

태태영어일지 - 리얼클래스 일상 영어 표현

get to ~번역: ~하러 가다ex) get to work일하러가다, 직장에 가다get to school 학교에 가다 lossing it번역: ~정신이 나가고있다.ex) your sister's lossing it너 여동생 정신이 나갔어! what do you mean 블라블라번역: ~그게 뭘 뜻하는데? 왜 그런말을 한건데?ex) what do you mean ? your are a not good kid너가 착한 아이가 아니란게 무슨 뜻이야? Bring up번역: ~이야기를 꺼내다/ex) don't bring up about pumkin pie prince story

태태개발일지 - 네이버 API 등록

네이버 api 등록 사이트https://developers.naver.com/main/ NAVER Developers네이버 오픈 API들을 활용해 개발자들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API 가이드와 SDK를 제공합니다. 제공중인 오픈 API에는 네이버 로그인, 검색, 단축URL, 캡차를 비롯 기계번역, 음developers.naver.com 사이트에 들어간 후원하는 서비스의 API를 누른다. 어플리케이션 이름을 등록한 후 완료를 누르면 된다. 로컬에서 사용할 거라면 다음과 같이 입력해주면 된다.

Trouble Shooting 2025.07.09

태태경제일지 - 부의 전략 수업

부의 전략 수업 1. 오늘은 가벼운 내용이다. 2. 변화에 대해 대응하라는 것이다. 3. 필자의 경험으로는 필자가 다녔던 회사들은 모두 사라지거나 합병되었다고한다. 4. 필자는 변화에 대응한 직업을 가져야한다고 했다. 5. 예를 들어서 AI에 비유를 했다. 6. 일반 사무직들이 하는 기본적인 일들은 AI로 대체가 가능하게 되었다. 7. 그리고 여러 일들이 AI로 대체되고있다고 한다. 8. 그렇기에 지속적인 소득을 얻기 위해서는 AI로 대체되는 직업에서 나와서 대체가 되지 않는 직업을 찾아 변화에 대응하라는 뜻이다. 9. 나의 생각은 모든 일들이 AI로 대체되고있는건 맞다. 하지만 시간이 좀 걸린다. 10. AI에도 다양한 분야들이 있고, 분명 대체하지 못하는 부분들이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11. AI와..

경제 2025.07.08

태태개발일지 - flatMap

Java Stream과 flatMap Java의 Stream API는 컬렉션을 다루는 데 있어 매우 강력하다.특히 flatMap은 2차원 이상의 자료구조를 평탄화(flatten)할 때 필수적인 메서드이다.이번 글에서는 flatMap이 왜 필요한지, 그리고 실제로 어떻게 동작하는지 예제를 통해 쉽게 설명하겠다. 2차원 리스트List> list = Arrays.asList( Arrays.asList(1, 2), Arrays.asList(2, 4)); 이 리스트에 stream 사용 Stream> stream = list.stream(); 각 요소는 리스트이다. Stream> mappedStream = list.stream().map(innerList -> innerList.stream()); 그..

JAVA 2025.07.08

태태경제일지 - 부의 전략수업

부의 전략수업 1. 필자의 스토리가 많다. 2. 요약하면 이렇다. 3. 부의 가치를 누리려면 정기적인 수입이 필요하다. 4. 정기적인 수입이란 직장을 뜻한다. 5. 필자는 스케일이 큰 직업을 가져야한다고 한다. 6. 여기서 스케일이란, 희소성을 말하는 것 같다. 7. 공급이 많지 않거나, 교육이 길어서 사람들이 쉽게 도전하지 못하는 직업을 가져야 8. 돈을 많이 벌수 있다고 한다. 9. 예를들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와 의사이다. 10. 둘의 공통점은 교육기간이 길다. 11. 하지만 내 개인적인 견해로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는 많이 달라졌다. 12. 한국같은경우 부트캠프로 엔지니어들을 계속 양산하여 희소성이 떨어졌다고 생각한다. 13. 나 또한 엔지니어이다. 14. 내일 이어서 작성하겠다. 내일은 금융에 대한..

경제 2025.07.07

태태경제일지 - 부의 전략 수업

부의 전략 수업 1. 경제는 불확실 하다. 2. 그러므로 마음을 안정하게 해야한다. 3. 그렇게 위해선 주식이 오르고 내림을 알아야한다. 4. 보통 주식이 오르면 군중의 심리로 사람들이 매수를 한다. 5. 그리고 보통 떨어지다보면 군중의 심리로 매도를 한다. 6. 심리적 불안함의 원리일 가능성이 크다. 7. 부를 쌓으려면 소득을 잘 분배해야한다. 8. 여긴 저자의 인생 스토리가 나와서 생략하겠다. 9. 할아버지께서 돈을 많이 아끼셨다고 한다. 10. 저자는 그것을 보고 배워왔다고 했다. 11. 소득을 받은 후 자신의 소득이 무엇으로 나가는지 정리해야한다. 12. 보다 구체적이고 세부적으로 13. 리스트업을 하고 불필요한 것을 줄이다보면 14. 정말 필수적인 한달 생활비가 나오게 된다. 15. 소비를 줄이..

경제 2025.07.03

태태개발일지 - 구름톤 머신러닝

효율적인 AI Code 기존 데이터를 처리할 때 train 과 test를 분리하지 않아서 과적합이 일어나는 상황을 볼 수 있었다. 1. 과적합(Overfitting)이란?과적합이란, 모델이 학습 데이터에 너무 맞춰져서 새로운 데이터(테스트 데이터)에서는 성능이 떨어지는 현상이다. 즉, 학습 데이터만 잘 맞추고 실제로는 예측을 잘 못하는 모델이 된다. 2. 데이터 분할의 중요성이 문제를 방지하려면 데이터를 **train set(학습용)**과 **test set(테스트용)**으로 나누는 게 필수다. 일반적으로 8:2(80%:20%) 비율로 많이 나눈다. 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train_test_split# X: feature 데이터, y: 라벨 데이터라고 가정X_t..

태태경제일지 - 부의 전략 수업

부의 전략 수업 1. 창조적 파괴에 대하여 알아야한다. 2. 4차산업혁명 증기기관이 나오면서 수많은 사람들이 직업을 얻었지만, 직업을 잃었다. 3. 즉 그 기술의 혁명에 따라가는 자는 돈을 얻고 4. 기술에 따라가지 못하는 자는 돈을 잃고, 일자리를 잃는 것이다. 5. 요즘은 그것이 AI를 뜻하는 것 같다. 6. 경제는 부채에 의해서 움직인다. 7. 부채를 늘려 돈을 풀고 금리를 인하하여 유동성을 풀어 경기를 활성화 시킨다. 8. 하지만 인플레이션이 일어나고, 부채를 줄이기 위해서 금리를 올리면 경기침체가 온다. 9. 경기는 이것의 반복이다. 10. 즉 경기에는 사이클이 있고, 이 사이클을 잘 알아야만 증시를 잘 파악할 수 있다. 11. 그리고 돈을 벌기위해선 본인이 안정적이여야한다. 12. 불안감에 ..

경제 2025.07.0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