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규화 2

태태코딩 - DB 설계 입문/실전

1. 공부하는 법.단순 듣기, 단순 코드따라치기가 아닌 , 자신만의 언어로 바꿔라 (ex 블로깅, 기록) 2. 파레토 법칙현업에서 사용하는 20% 만 알아도 80%의 효과를 낼 수 있다.자주사용하는 20%만 확실하게 알자 !  완벽주의 성향 --> 나.. 그렇게 공부했지만 너무 오래 걸렸다.. 실전에 적용해보자. 3. First wood이해가 안되는 언어가 많을 수록 어려운 분야라고 생각한다.효율적인 공부를 하기위해서는 이해가 안되는 언어일 수 록 가장 먼저 정리를 해야한다. 데이터베이스 모델링이란? 정의: 웹 서비스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운영하면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잘 분류해서 데이터를 저장해 놔야한다.즉 : 데이터를 어떻게 분류해서 저장할 지를 설계하는 행위를 보고, 데이터베이스 모델링(Databa..

DATABASE 2024.12.21

태태개발일지(정규화)

데이터 베이스를 설계할 때 데이터의 중복이 발생하면, 이상 현상이 생깁니다. 그래서 데이터의 중복을 최소한으로 줄여 이상현상을 줄이게 되는 것을 정규화 라고합니다. - 이상현상( 삽입 이상, 삭제 이상, 갱신 이상) 제 입장에서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겠습니다. 1NF(1정규형) 원자성을 의미합니다. 이름 취미 박땡땡 농구 김철땡 축구, 미식축구 원자성: 더 이상 분해될 수 없고, 쪼갤 수 없는 값을 의미합니다. 즉 테이블에서 행과 열의 값을 고유 원자값으로 표현해 주면 됩니다. 즉 김철땡의 취미가 축구, 미식축구 이렇게 여러개의 값이 들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 값들은 쪼갤 수 있는 원자값이 아니기 때문에 1정규형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바꿔야합니다. 이름 취미 박땡땡 농구 김철땡 축구 김철땡 미식축구..

DATABASE 2023.11.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