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데이터베이스 2

태태개발일지 - DB 관계 데이터 모델링

개체 - 관계 데이터 모델링 1. 일반적으로 알려져있는 데이터 모델링.2. 데이터의 구조를 개체와 개체들의 관계를 표현해 나가며 접근하는 방법론.3. RDBMS는 개체 - 관계 모델을 구현해 놓은 소프트웨어이다.4. RDBMS는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를 관리한다.  1. 엔터티(Entity)- 업무상 관심있는 개체의 집합 또는 행위의 집합- 개체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속성을 가진다. 2. 속성 (Attribute)- 개체 집합의 특성을 설명하는 항목- ex) 작가인 경우 작가ID 3. 식별자(Identifier)- 개체의 집합에서 하나의 개체를 식별해 주는 속성- 여러개의 속성이 식별자가 될 수 있다. 4. 관계(Relationship)- 엔터티와 엔터티간 연관성을 표현- 연결시 카디날리티 표시- 1:..

DATABASE 2024.10.06

태태개발일지(정규화)

데이터 베이스를 설계할 때 데이터의 중복이 발생하면, 이상 현상이 생깁니다. 그래서 데이터의 중복을 최소한으로 줄여 이상현상을 줄이게 되는 것을 정규화 라고합니다. - 이상현상( 삽입 이상, 삭제 이상, 갱신 이상) 제 입장에서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겠습니다. 1NF(1정규형) 원자성을 의미합니다. 이름 취미 박땡땡 농구 김철땡 축구, 미식축구 원자성: 더 이상 분해될 수 없고, 쪼갤 수 없는 값을 의미합니다. 즉 테이블에서 행과 열의 값을 고유 원자값으로 표현해 주면 됩니다. 즉 김철땡의 취미가 축구, 미식축구 이렇게 여러개의 값이 들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 값들은 쪼갤 수 있는 원자값이 아니기 때문에 1정규형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바꿔야합니다. 이름 취미 박땡땡 농구 김철땡 축구 김철땡 미식축구..

DATABASE 2023.11.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