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태개발일지(index)
@Entity @Table(name = "user_table", indexes = { @Index(name = "idx_name", columnList = "name") }) //@Table(name = "user_table") 데이터베이스에서 index를 만들면 B+ Tree 구조로 저장이되고, 인덱스테이블을 사용하면 insert, update,delete가 있어서 추가 쿼리가 생기지 않는 이상, 조회상태에서는 성능이 향상 된다고 알 게 되었다. 또 궁금한 것은 못참는 내가 Database에서 userTable을 만들고 안에 name이라는 속성으로 index를 만들고, spring과 연결 시켜서 Jmeter로 성능을 실험해보았다. 결과: 유저 데이터 30000개 정도는 속도차이가 별로 크게 나지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