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프로세스
- 실행중인 프로그램
- 디스크에 저장된 수동적 파일이 메모리에 적재될 때, 비로소 프로세스가 됨
메모리상에서 프로세스가 특정위치에 할당을 받아서, 자기 메모리를 동적으로 조절하게 된다.
Text : 실행코드가 존재 (프로세스)
data: 어떤 영역에서 접근해도 가능한 데이터
heap: 프로그램 실행시 동적으로 할당되는 메모리
stack: 함수 호출 시 임시 데이터 저장
New Running Waiting Ready Terminated
PCB 프로세스 제어 블록:
프로세스가 생성되면 같이 생성되고
종료되면 같이 없어진다.
-> 스케줄링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알려줌
state , number , counter , registers, memory limits
프로세스 스케줄링
프로세스가 시스템에 들어오면 Job Queue에 들어가게 된다.
프로세스가 Ready 상태가 되면 Ready Queue에 들어가게 된다.
단기 스케줄러 | 중기 스케줄러 | 장기스케줄러: 멀티프로그램의 정도를 |
CPU 스케줄러 | 일부 운영체제가 도입 | 잡 스케줄러 |
실행 빈도 높음 | 메모리에서 프로세스들을 제거 | 실행 빈도 낮음 |
(밀리초) | 스와핑 | 메모리 상의 프로세스들의 수를 제어 |
(분 단위) | ||
IO/CPU중심 | ||
인터럽트가 발생했을 때 그 상태를 저장하기 위해 context switch가 일어나는데 그것은 PCB에 저장되게 된다.
반응형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태개발일지(운영체제) (0) | 2023.09.06 |
---|---|
태태개발일지(운영체제) (0) | 2023.09.05 |
태태코딩(운영체제) (0) | 2023.08.31 |
태태개발일지(운영체제) (0) | 2023.08.24 |
태태개발일지(운영체제) (0) | 2023.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