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죽었는데 티 안나는 서버
스케일 up을 통한 서비스 확장 -> ex) 한 마리의 레벨을 높혀서 능력 극대화
스케일 out을 통한 서비스 확장-> ex)여래 개의 서버
-> 트레픽을 분산시켜서 사용하기 떄문에 보다 안정적으로 운영이 가능하다. ex) 블루그린 배포 before(blue) after(green)
네트워크 : 통신 설비를 갖춘 컴퓨터를 이용해 서로를 연결 시켜주는 조직이나 체계
-어떠한 일이나 문제점을 처리하는 데 긴밀하게 연결되어 효율적으로 움직이는 체계
분산: 갈라져 흩어짐, 또는 그렇게 되게함
1. anonymous ->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곳.
2. 라우터(둥근 기계에 화살표) : 중개 역할을 해준다 ex) 외부의 요청에 따라 라우터가 분배 *각 지역별로 각 건물별로
3. 백본 스위치(사각형): 요청이 들어온다 방화벽
4. L7스위치: 어플리케이션 레이어로 배포를 하거나 변경을 할때 상태를 확인해 제어를 해간다.
5. Trust zone(라우터) <-> DMZ zone(L7)
DMZ zone -> 외부와 내부에서 요청을 받는다.
DNS(외부) & HOST(내부)
VIP를 통해서 1번서버 갔다 2번서버갔다 할 수 있음.
반응형
'Clu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태개발일지-spring cloud (0) | 2024.03.0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