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네트워크

네트워크

태태코 2023. 3. 13. 15:48
반응형

wireshark를 이용하여 간단한 용어정리하기

 

 

---> 이 모든게 다같이 묶여서 사용하는 것을 "인캡슐레이션"이라고 한다.

IP4 ---> 먼거리를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통신규약

Ethernet II --> 먼거리가 통신이 닿아서 여러가지 컴퓨터중에 식별할 때 사용하는 규약

TCP--->나의 컴퓨터가 네이버의 서버와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 것.

<wireshark>

 

 

2계층에서 하는일

----> 어떤 장비가 어떤 장비에게 보내는지 흐름을 제어하고, 그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 체크를 한다.

하지만 같은 네트워크 대역과 통신할때만 사용하고, 다른 네트워크 대역을 사용하려면 3계층을 이용해야한다.

 

MAC주소 --> 물리적인 주소 6byte이다 16진수 두개당 1바이트  ex) 6C-29-95 04-EB-A1 

 

Ethernet II 프로토콜

 

 

--> 간단하게 ping 8.8.8.8을 통해 구글과 핑을 주고받아 icmp를 확인해보는 작업을 했다.

 

목적지 주소 + 출발 주소+ 데이터 + 이더넷 종류 총 14바이트

반응형

'CS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태개발일지 - http  (3) 2024.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