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의 전략 수업
1. 이제 실질적인 돈의 흐림이 나왔다.
2. 금리에 대한 내용이다.
3. 이 내용은 앞서 EBS 자본주의에서도 다뤘던 통화정책이다.
4. 작가는 이렇게 말한다.
5. 금리를 아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이다.
6. 그 금리를 결정하는 것은 중앙은행이 하는 역할이라는 것이다.
7. 미국의 중앙은행은 FED 이고, 한국의 중앙은행은 한국은행이다.
8. 중앙은행은 명목금리를 조절할 수 있다. 실질금리는 명목금리를 조절했을 때 실제 나타나는 금리이다.
9. FED는 돈을 찍어내서 금리를 조절할 수 있다.
10. 즉 돈을 많이 풀면 금리가 내려가고, 고용이 늘고, 주식시장이 좋아지고, 대출이 늘어 부동산도 좋아진다.
11. 돈을 줄이면, 금리가 올라가고, 고용이 줄어 실업률이 증가하고, 주식시장 대출이 줄어 부동산도 좋아지지 않는다.
12. 중앙은행은 이를 채권으로 조절한다.
13. 정부의 채권 발행이다. 정부는 세금 수입과 지출 간의 차이를 메우기 위해 채권을 발행한다. ex) 국방비로 100달러를 사용해야하지만 세금으로 80달러만 거둬들였을 경우, 부족한 20달러를 충당하기 위해 채권을 발행한다.
14. 상업은행이 채권을 구매하는 것이다. 시중 은행은 정부가 발행한 채권을 매입한다. 이는 은행이 정부에 돈을 빌려주는 것이다. 은행이 보유한 고객들의 자금을 정부에 빌려주는 것이다.
15. 연준이 돈을 찍어내 채권을 매입하는 것이다. 전산상으로 현금을 만들어내서 그 현금을 은행에 줘서 대출을 하게 하는 형식이다.
16. 그리고 중요한 부분은 중앙은행의 정책금리는 == 예상 인플레이션에서 +/- 1~2%라는 것이다.
17. ex) 만약 인플레이션이 2% 수준으라면 정책금리는 3~3.5% 인플레이션이 4%라면 5%로 늘린다는 것이다.

'경제 > 부의 경제 수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태경제일지 - 부의 전략수업 (3) | 2025.07.28 |
---|---|
태태경제일지 - 부의 전략수업 (4) | 2025.07.25 |
태태경제일지 - 부의 전략 수업 (5) | 2025.07.23 |
태태경제일지 - 부의 전략 수업 (1) | 2025.07.16 |
태태경제일지 - 부의 전략 수업 (1) | 2025.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