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BASE

태태개발일지(데이터베이스)

태태코 2023. 9. 26. 11:45
반응형

데이터베이스

 - 특정 조직의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통합해서 저장한 운영 데이터의 집합

 

데이터베이스 예제

 -은행: 계좌정보, 입출금 내역

 

데이터베이스 특징

 - 실시간 접근 가능

 - 계속적인 변화

 - 동시 공유가 가능

 - 저장된 주소가 아닌 내용으로 참조 가능

 

데이터의 유형

 - 정형 데이터(엑셀의 스프레드시트, 관계데이터베이스 테이블)

 - 반정형 데이터(self-describing data: HTML,XML,JSON)

 - 비정형 데이터(text,멀티미디어 데이터)

 

파일시스템을 사용했을 경우

 - 동시성 제공이 어려움 ->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접근할 때 문제 해결에 어려움 

 - 원자성 제공이 어려움 -> 파일 변경 중에 시스템 장애가 발생했을 때 처리 어려움

 - 보안 제공 이슈 -> 사용자 별 파일 안의 일부 데이터 읽기 권한 제어가 어려움

 

DBMS

 - 응용프로그램과 데이터 연결을 도와주며 데이터 관리와 데이터에 대한 기본 처리를 담당하는 추가적인 소프트웨어이다. 

 

Data Dictionary

 - database와 함께 metadata를 저장

 - DDL에 의해 생성

 

Metadata

 - 데이터를 어떻게 저장할 것인가.

 - 보안을 위한 제약(누가 어떤 데이터를 접근할 수 있나?)

 - 무결성을 위한 제약(어떤 값이 데이터에 유효한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관리하여  조직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해주는 시스템

DBMS와 구별되는 것

 

스키마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논리적인 구조와 제약구조를 정의한 것.

 

 인스턴스

 - 정의된 스키마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실제로 저장된 값

 

3Level Database architecture

 데이터베이스 내부구조를 감추고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를 쉽게 이용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구조

 

내부스키마

- 실제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어떻게 저장되는지 기술

- 파일에 저장되는 레코드의 구조, 압축방법, 암호화 방법

 

개념 스키마

- 일반적인 스키마

- 데이터베이스를 개념적으로 표현 그리고 데이터 테이블 간의 관계를 기술

- 물리적 데이터 독립성

 

외부스키마

- 사용자가 보는 view level

- 사용자에게 view의 형태로 필요한 정보만 보여주는 단계

- 개념스키마와 논리적 데이터 독립성

- 데이터베이스 하나에 여러 개의 외부 스키마 가능

 

데이터 언어

사용자가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이에 접근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과 통신하는 수단 

 

DDL, DML,DCL

 

반응형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태개발일지(Database)  (1) 2023.10.02
태태개발일지(Database)  (1) 2023.09.27
태태개발일지(index)  (0) 2023.09.24
태태개발일지(트랜잭션)  (0) 2023.09.17
총정리  (0) 2023.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