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keep
상황
항해 백엔드 과정에 이어서 생성형 AI에 대해서 배우는 과정을 등록해서 재직중에 AI를 배울 기회가 생겨서 AI를 수강하고 있다.
데일리 일정
평일에는 퇴근후 2-3시간씩 AI자료를 보며 공부하고, 토요일 실 수업 끝난 후 일요일에는 수업내용을 정리하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problem
아무래도 AI가 아예 처음이다 보니 개념도 익숙하지 않고, 수식이 정말 이해가 하나도 안되는 상황이였다..
머신러닝, 딥러닝의 차이도 전혀몰랐고, python으로 머신러닝을 어떻게 사용하는 지 딥러닝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전혀 감을 못잡는 문제가 있었다.
try
1. 우선 강의 자료를 보면서 아주 기초부터 머신러닝과 딥러닝에 대해서 학습했다.
2. 사전 과제에 있던 강의를 다시 돌려보면서 개념을 익숙하게 했다.
3. 실제 머신러닝과 딥러닝 작성 코드를 응용하면서 어떤 형식으로 코드가 이루어지는지 판단했다.
이런 방식으로 하다보니 아주 깊숙하게는 아니더라도 어느정도 입문을 했다! 정도는 온 것 같다.
TODO
앞으로 다음 주 나의 계획은
1. 나도 코딩 머신러닝 딥러닝 기초편 6시간 강의 수강하기
2. 2주차 과제관련 사전강의 듣기
3. 코드 응용하면서 더 학습하기

반응형
'부트캠프 > 항해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태개발일지 - AI LLM개발자? 렝체인, RAG에 대하여 (3) | 2025.04.27 |
---|---|
태태개발일지 - AI의 미래(개발자의 미래) (1) | 2025.04.20 |
태태개발일지 - 머신러닝 기초 (0) | 2025.04.10 |
태태개발일지 - AI 기초(머신러닝) (0)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