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웹펙
NPM은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들이 모여있는 곳이다.
Jquery , tensorflow
npm
npm init -> 프로젝트 생성 -y를 통해서 기본 값으로 설정 가능하다.
npm install jquery -> jquery라는 라이브러리를 다운받겠다는 뜻.
npm unistall gurp -> 의존성을 삭제해준다.
npm install jquery --global -> 전역설치 (시스템 레벨에서 사용한다)
npm을 사용하면 좋은 이유.
html안에서 <script> 태그 안에서 의존성을 넣어서 돌린다면..?
단점:
1. 긴 코드에서 누가 어떤 의존성을 넣었는지 찾아야한다.
2. 버전이 바뀌었을 경우 다 하나씩 일일이 찾아야한다.
장점:
1. npm은 package.json에 모아서 개발하기 떄문에 보기 편하다.
2. 페이지를 들어가서 일일이 검색해서 찾는 거보다는 npm에서 다운받는게 편하다.
전역 install 했을 경우
/usr/local/lib/node_modules -> 에 들어가면 내 로컬에 의존성이 다운받아진 것을 볼 수 있다.
npm i ~~ -D -> dev 형식으로 install
devDependency는 배포되지 않는다. -> 문법검사 등등등 그렇기에 개발용 라이브러리에 다 넣다보면 빌드가 오래걸릴 수 있다.
반응형
'Front > V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태개발일지 - 웹팩 데브 서버 (0) | 2024.11.24 |
---|---|
태태개발일지 - 웹팩 (1) | 2024.11.23 |
태태개발일지 - Vue Computed API (0) | 2024.11.20 |
태태개발일지 - Vue js mapMutations (0) | 2024.11.17 |
태태개발일지- mapstate (1) | 2024.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