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트캠프/항해 AI

태태개발일지 - AI의 미래(개발자의 미래)

태태코 2025. 4. 20. 14:32
반응형

근황

현재 근황은 LLM을 공부하면서 pandas, 머신러닝, 딥러닝을 천천히 공부하고 있어서, 이쪽에 대한 글작성은 나중에 한번에 모아서 올리기로 했다.

 

이 글의 주제

AI에 대해서 공부하면서 다양한 글에대해 접해서 정리해 보게 되었다.

대충 글을보자면 이러한 부분들이 있었다.

 

AI발전으로 인해서 개발자가 사라지는 것인가?
AI발전을 어떻게 따라가야하는가?

 

1번과 2번으로 나누어서 정리해보겠다.

 

 

1. AI발전으로 인해서 개발자가 사라지는 것인가?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고 생각한다. 나 또한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 많은 사람들의 글을 읽고 영상을 보면서 정리한 것이있다.

짧게 요약하자면,

    1.1 과거에는 코드를 짜는 것이 불편했고, 반복적이고 안정적인 코드를 짜는 것이 중요했다.

 

    1.2 하지만 AI의 발전을 보면 느껴지는 것처럼, 이제 반복적이고 안정적인 코드는 AI가 짜준다. 아니 사실 AI가 더 빠르고 간단하게 짜준다고 생각한다. 

 

    1.3 결론은 단순하고 반복적인 것을 짜는 코더들은 사라질게 분명하다. 그러나 코드의 아키텍쳐나 성능을 고려하는 개발자들은 사라질 수 없다 오히려 AI툴을 통해서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다양한 선택사항들을 고려할 수 있게된다.

 

    1.4 나의 결론은 단순하다 난 계속해서 학습하는 것을 좋아하고, 더 좋은 성능을 찾는 것을 좋아하고, 나는 내 힘으로 프로젝트를 처음부터 끝까지 하는 것이 나의 최종 목표이다.

 

   1.5 난 이 길을 그만두지 않을 것이다, 물론 AI가 훨씬 잘하지만, 프론트엔드, 백엔드(주), AI, 앱 어플리케이션을 모두 기초부터 중급까지 다룰 수 있는 실력을 키울 것이다. 

 

   1.6 그리고 이런 기본 바탕이 완성되었다면, AI와 함께 더 나은 성능을 고려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면서 나를 더 성장 시키기로 마음 먹었다 나에게 AI란 그저 협력자 그이상 그이하도 아니다. 앞으로는 속도와 품질 즉 개발자의 선택이 중요해지는 시기가 온거라고 생각한다.

 

 

2. AI발전을 어떻게 따라가야하는가?

1. AI에 대한 수업을 들으면서,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는 과정에서 기술의 발전은 빠르고, 법은 그것을 따라가지 못한다는 결론이 나왔다,

2. 이번에 GPT 지브리 사건도 그렇고, 아마존의 편향적인 이력서 검토, 등 여러가지 상황에서 AI를 올바르게 사용하지 못하는 사례가 나오고있다.

3. 앞으로는 AI의 윤리, AI 개발자 등등 AI에대한 여러가지 직업이 나올 것이다. 나는 지금당장 AI개발자를 할 생각은 없지만, AI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내 공부를 하면서 AI도 당연히 이용하고, 공부할 것이다. 

4. AI에 대한 직업의 다양성과 가능성은 생각보다 무궁무진 할것이라고 생각한다.

 

 

 

 

반응형